본문 바로가기
직업상담

진로성숙검사 및 성격검사

by 췌리후 2022. 8. 23.
반응형

 

심리검사의 사용목적 및 고려사항

심리검사의 사용목적으로는 예측, 분류 및 진단, 자기 이해의 증진이 있다. 예측은 심리검사를 통해 내담자의 장래 행동을 예측한다. 분류 및 진단은 내담자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내담자의 문제 원인을 파악한다. 자기 이해의 증긴은 내담자 스스로 자신의 특성을 파악한 후 현명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한다. 직업상담에서 검사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검사의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검사 선택에 내담자를 포함시킨다. 내담자의 특성에 적합해야 한다.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표준화된 검사방법이어야 한다. 상담 목적에 부합해야 한다. 심리검사 제작을 위한 예비문항 제작 시.. 문항의 적절성, 문항의 난이도, 문항의 구조화를 고려해야 한다. 문항의 적절성이란, 문항은 성별, 인종, 지역, 문화 등의 차이에 따라 특정 집단에 유리하거나 불리하지 않도록 지각해야 한다. 문항의 나이도란 문항은 수검자의 수준에 따라 난이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구성하여야 한다. 문항의 구조화는 문항의 질문 내용은 모호하지 않고 구체적이어야 한다. 문항의 변별도는 문항 하나하나가 피검자의 상하 능력을 얼마나 잘 변별해내는 지의 정도를 의미한다. 오답의 능률도란 선다형 검사에서 피검자가 정답을 가려야 하는 문항 선 지의 응답비율을 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심리검사 시 유의사항에 대해 알아보자 1. 심리검사의 목적과 절차를 충분히 설명해야 한다. 2. 심리검사나 평가기법을 개발하고 표준화할 때는 과학적 과정을 따라야 한다. 3. 다른 사람이 평가의 결과와 해석을 잘못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4. 평가결과가 시대에 뒤떨어질 수 있음을 인정하고 측정치가 잘못 사용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5. 해석을 내리는 데 사용된 프로그램 및 절차의 타당성에 대한 증빙자료를 제시해야 한다. 6. 적절한 훈련을 받지 않은 사람은 심리검사를 자유롭게 이용해서는 안된다. 7. 내담자가 이해하기 쉬운 언어를 사용한다. 8. 내담자에게 검사 점수보다는 접수 범위를 말해주는 것이 좋다. 9. 상담자의 주관적 판단은 배제하고 중립적인 판단을 한다. 10. 내담자의 반응을 고려해야 한다. 11. 검사 결과가 악용되어서는 안 된다. 심리검사 결과 해석: Tinsley와 Bradiey가 제시한 심리검사 결과 해석을 알아보자. 1. 제1단계, 해석 준비단계 : 상담자는 내담자가 검사 결과의 의미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지 숙고한다. 2.  제2단계, 수용 준비단계 :  상담자는 내담자가 ㄱ머사 결과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준비시킨다. 3. 제3단 게, 정보전달 단계 :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검사 결과를 전달한다. 4. 제4단 게, 추후 활동 단계 :  상담자는 내담자와 상담 결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면서 내담자가 어떻게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부정적인 심리검사 결과가 나왔을 경우, 통보할 때에는 내담자가 충격을 받지 않도록 유의하며, 내담자에게 검사 결과를 전달할 때에는 기계적으로 해서는 안되며, 일상적인 용어로 쉽게 설명한다. 또한 내담자의 방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해석의 기회를 갖고, 타인에게 부정적인 결과가 알려지지 않도록 비밀보장에 유의한다. 검사 점수의 번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개인이 일시적이고 독특한 특성으로는 특수한 검사 과제에 대한 이해, 특수한 기능이 포함된 분얃에서의 연습 정도, 특정한 검사자료를 다루는 기술, 특정한 검사에 대한 마음가짐이 있다. 심리검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검사자 변인과 수검자 변인은 강화 효과, 기대효과, 코칭 효과 등이 있다. 강화 효과란 검사과정에서 검사자가 수검자로 하여금 특정 반응을 유도하거나 행동의 빈도를 높이기 위해 제공하는 강화, 즉.. 물질적 보상이나 언어적 보상이 검사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기대효과란 검사과정에서 검사자가 수검자의 수행이나 검사 결과와 관련해 어떠한 기대를 표명하는 가에 따라 검사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코칭 효과는 검사내용이나 방법에 대해 설명, 지시, 지도 조언 등의 코칭은 검사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코칭 효과라는 수검자에 대한 검사나 재검사에 있어서 수검자의 능력을 과대평가하여 검사의 타당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진로성숙검사(CMI)

진로성숙검사란 피검사자의 진로탐색과 선택에 있어서의 태도와 능력이 얼마나 발달하였는지를 측정하는 표준화된 진로 발달 검사도구이다. 객관적으로 점수화되고 표준화된 유일한 진로발달검사이다. 진로성숙검사는 태도 척도와 능력 척도로 구분된다. 태도 척도는 선발 척도 및 상담 척도로 나뉘며, 상담 척도는 결정성, 참여도, 독립성, 성향(지향성), 타협성을 측정한다. 능력 척도는 자기 평가 및 직업정보, 목표 선정, 계획 문제 해결을 측정한다. 성격검사: 고용노동부 성격검사는 성격의 5요인 모델에 근거한다. 1. 외향성 :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원하고, 타인의 관심을 끌고자 하는 정도이다. 2. 호감성 : 타인과 편안하고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는 정도이다. 3. 성실성 : 사회적 규칙, 규범, 원칙들을 기꺼이 지키려는 정도이다. 4. 정서적 안정성 및 불안정성 :  정서적으로 얼마나 안정되어 있고, 세상을 위협적이지 않다고 생각하는 정도 5. 경험에 대한 개방성 :  자기 자신을 둘러썬 세계에 대한 관심, 호기심, 다양한 경험에 대한 추구 및 포용력 정도. 다면성 인성검사(MMPI) 다면성 인성검사의 척도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척도 : 대답을 하지 않거나 '예'와 '아니오'에 동시에 대답한 것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2. L 척도 :  수검자가 자신을 좋게 보이려는 부정적인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이다. 3. K 척도 :  정신 자애가 분명한데 이를 숨기고 정상적인 프로파일을 보이는 사람들을 가려내려고 측정하는 척도이다. 4. F척도 :  보통 사람들의 생각과 얼마나 다른지를 측정하는 정도이다. 척도: 직업심리검사에서 측정의 기본단위는 척도(scale)이다. 척도의 유형과 의미를 알아보자. 1. 명명 척도 :  어던 사물을 분류하기 위해 수치나 기호를 부여한 척도이다. 2. 서열 척도 :  명명 척도의 분류 기능에다 순위 기능을 추가한 척도이다. 3. 등간 척도 :  명명 척도의 분류 기능, 서열 척도의 순위 기능에다 등 간 기능을 추가한 척도이다. 4. 비율척도 : 명명 척도의 분류기능, 서열 척도의 순위 기능, 등간 척도의 등 간 기능에다 비율 기능까지 추가한 가장 폭넓은 척도이다. 

전통적 척도방식:심리검사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전통 정 척도는 리퀴드 척도, 서스톤 척도, 거트만 척도가 있다. 1. 리퀴드 척도 :  응답자 중심 방식으로 문항은 척도 화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응답지만을 척도 화하는데 중점을 두는 방식이다. 2. 서스톤 척도 : 자극 중심 방식으로 응답자들을 척도 화하기 이전에 문항을 먼저 척도 화하는데 중점을 두는 방식이다. 3. 거트만 척도 :  반응중심 방식으로 응답자와 문항을 동시에 척도 화하는데 중점을 두는 방식이다. 질적 측정도구:직업상담 과정에서 사용되는 질적 측정도구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생애진로 사정 : 상담사가 내담자와 처음 많았을 때, 이용할 수 있는 구조화된 면담기법으로, 내밤다에 대한 가장 기초적인 직업상담정보를 파악한다. 2. 직업 가계도 : 내담자의 조부모와 부모, 형제자매 등의 직업들을 도해로 표시한 것으로, 내담자의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친 모델이 누구인지 파악한다. 생애진로 사정에서 얻은 정보에 가족으로서의 역할에 관한 정보를 추가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3. 직업카드 분류 : 홀랜드의 6 각형 호명과 관련된 직업카드를 사용하여 직업을 선호군, 혐오군, 미결 정군으로 분류하도록 하여 내담자의 직업에 대한 선호 및 흥미를 파악한다.

 

 

 

 

 

 

 

 

 

 

 

반응형

댓글


<--네이버 에널리틱스 -->